지역밀착형 복지관이란?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등에 따른 사회적 고립, 고독사 등 지역사회 복지환경 변화에 맞춰 서비스 제공방식을 변화하여, 지역사회로 직접 나가서 동(洞)단위 민관협력체계를 구축하여 복지문제를 해결하는 지역 복지중심기관.
※ 복지관 당 1개 이상의 동주민센터와 연계하여 사업 추진.
고립예방 협의체 활동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리적 경계 |
동 또는 소규모 지역 |
수행방법 |
주민중심, 주민주도, 민관협력 |
활동내용 |
사각지대 주민발굴 및 지원 |
사업목표 |
지역복지 문제해결 |
사업목적 |
지역사회 돌봄체계 구축 |
- 지역밀착형복지관은 지역특성을 반영한 활동으로 진행되며, 복지관 소재지 밖으로 나가 별도 거점공간을 마련하여 위기가구 발굴 및 지원, 위기가구 주민관계망 형성사업 추진.
고립예방 협의체 활동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취약위기가구 발굴 |
취약위기가구 지원 |
취약위기가구 주민관계망 형성 |
동단위 네트워크기반 단절된 이웃발굴 |
가구별 맞춤서비스 제공 |
- 지역별 다양한 커뮤니티 자조모임
- 동별 특성화 복지사업 운영
|
- 찾아가는 복지관 상담사업 운영
- 주민리더단 발굴양성
- 가가호호 문고리캠페인 등
- 고시원 등 고위험가구 발굴위한 체계구축 등
|
- 필요시 공적서비스 연계
- 고립가구 긴급지원
- 희망온돌사업 연계
- 복지관 민간 자원 연계
- 정서 신체 치료프로그램 제공
|
- 자조모임
(중장년남성 산책모임, 1인가구 요리교실 등)
- 동별특성화 복지사업
(취약계층 인문학교육, 이민자/한부모교실)
|
운영지원 내용
- 현장간담회, 현장지원단, 운영매뉴얼 배포 등을 통한 사업 운영지원
- 지역밀착형 현장종사자 교육 및 워크숍 개최 등 업무 역량강화 지원
- 성과공유회 개최, 종사자 만족도조사, 질적 사업성과분석 연구 등 성과관리
2025년 서울시 지역밀착형복지관 명단(89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