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구 고립예방협의체란?
고독사 및 고립예방을 위한 자치구 단위 민관협의체로 고립예방 및 고립가구 발굴지원 관련 대책 수립 및 자치구 맞춤형 고립예방활동 추진
고립예방 협의체 활동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고립예방 협의체 활동내용 |
- 고독사 및 고립예방을 위한 자치구 민관 거버넌스 위원구성
- 자치구 특성을 반영한 고독사 및 고립예방 지원계획 및 대책수립
- 인식개선 캠페인, 발굴 지원단 운영체계 마련 등 지역 맞춤형 예방활동 추진
|
고립예방협의체 운영지원
고립예방센터에서는 자치구 특성 맞춤별 고독사 및 고립예방체계 마련을 위해 협의체 운영지원, 위원 역량강화, 사업성과관리 지원
자치구 고립예방협의체에 대한 표입니다.
자치구 고립예방협의체란? |
고독사 및 고립 예방, 발굴, 지원을 위한 자치구 단위 민관 거버넌스 |
고립예방협의체 구성에 대한 표입니다.
고립예방협의체 구성 |
- (공공) 구청, 동, 지사협 공공위원, 보건소 등
- (시설) 복지관, 1인가구지원센터, 정신건강보건센터
- (유관) 경찰서, 소방서, 우체국, 주거상담소
- (주민) 통반장, 동지사협 위원, 주민자치위원 등
- 협의체는 자치구 실정에 맞게 자체구성
|
고립예방협의체 역할에 대한 표입니다.
고립예방협의체 역할 |
- 고독사 및 고립예방을 위한 자치구 지역단위 예방 발굴,
지원을 위한 민관협력체계 구축 (거버넌스 위원 구성, 공동 의제 발굴 등)
- 자치구 맞춤형 고독사 예방 및 고립가구 대응방안 마련
및 실행 (인식개선캠페인, 발굴지원단 운영체계 마련 등)
|
25년 고립예방 협의체 운영에 대한 표입니다.
25년 고립예방 협의체 운영 |
강남구, 강북구, 강서구, 관악구, 광진구, 금천구,
노원구, 도봉구, 마포구, 서대문구, 서초구, 성동구, 송파구 (13개 자치구) |
외로움ㆍ고립은둔 단계별 특성에 따른 체계적인 종합대책 수립 필요
-
상시 운영 지원에 대한 표입니다.
상시 운영 지원 |
- 고립예방협의체 공모 선정 및 운영지원
- 광역자문단 운영 및 자치구별 자문 지원
|
-
역량 강화 지원에 대한 표입니다.
역량 강화 지원 |
- 자치구별 역량강화 지원(욕구조사 포함)
- 핵심리더 양성 워크숍
- 대상별 간담회
|
-
성과 관리 지원에 대한 표입니다.
성과 관리 지원 |
- 모니터링 및 컨설팅
- 업무가이드라인 제작·배포
- 우수사례 발굴 및 확산
|
-
협의체 구성·논의에 대한 표입니다.
협의체 구성·논의 |
- 자치구별 협의체 구성
- 고독사, 고립예방 의제발굴, 계획논의
|
1차년도 상반기 |
-
실행계획 수립 및 역량강화에 대한 표입니다.
실행계획 수립 및 역량강화 |
- 위원 역량강화
- 세부 실행계획 및 인식제고 방안수립
|
1차년도 상반기 |
-
협의체 운영에 대한 표입니다.
협의체 운영 |
- 수립계획 실행 및 평가
- 차기년도 계획수립
※ 계획-환류 과정 지속
|
1차년도 하반기/ 2~3차년도 |
-
자치구별 운영안착에 대한 표입니다.
자치구별 운영안착 |
- 구별 자체 안착화 방안마련 및 운영
-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분과화 등(예시)
|
2~3차년 이후 |
※ 상기절차는 자치구별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합니다.
2025년도 자치구 고립예방협의체 운영
2025년도 자치구 고립예방협의체 운영에 대한 표입니다. No, 구분, 자치구, 대표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No |
구분 |
자치구 |
대표기관 |
1 |
신규 |
강서구 |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2 |
광진구 |
중곡복지관 |
3 |
금천구 |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4 |
노원구 |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5 |
서대문구 |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6 |
서초구 |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7 |
성동구 |
성동구 1인가구지원센터 |
8 |
연속(1년) |
강서구 |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9 |
강북구 |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10 |
송파구 |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11 |
연속(2년) |
관악구 |
신림복지관 |
12 |
도봉구 |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13 |
마포구 |
사랑의 전화, 염리, 성산복지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