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 스마트복지
  • 스마트안부확인서비스
스마트복지

스마트안부확인서비스

서울시 스마트돌봄 모델 구축 개요도. 스마트돌봄 운영의 효율성과 품질을 제고하기 위한 두 가지 주요 전략으로 ① 24시간 관계출동 운영(야간·휴일 대응, 사전관리 및 후속 모니터링, 관계센터 역량강화)과 ② 스마트복지 품질개선(적합성 조사, 운영 고도화, 교육·컨설팅, 사례 세미나 및 제작, 협력체계 구축)을 시각적으로 설명함.
스마트안부확인서비스 소개
스마트돌봄 관련 5개 서비스 비교 표. ① 스마트플러그: 전력(플러그)·조도 미사용 시 대응. 21개 자치구 대상, 마포·서대문·광진·동대문 제외. 약 4천 가구 용, 야간·휴일 대응은 약 3.5천 가구. ② AI안부확인: 주 1회 AI 전화로 위험발화 시 대응. 19개 자치구 대상, 관악·마포·서대문·성동·성북·은평 제외. 약 1.2만 가구 이용. ③ 똑똑안부확인: 통신·IoT센서·앱 미감지 시 대응. 8개 자치구 대상, 마포·성동·광진·성북·은평·서대문·강서·관악. 약 2만 가구 이용, 야간·휴일 대응 약 2.2천 가구. ④ AI안부든든: 전력(AMI)·통신·앱 미감지 시 대응. 4개 자치구, 강서·동대문·구로·중구. 약 600가구 이용. ⑤ 1인가구 안부살핌: 전력(AMI)·통신 미감지 시 대응. 8개 자치구, 중랑·성북·노원·은평·양천·영등포·서초·서대문. 약 1.5천 가구 이용.

※ '25년 5월 기준이므로 세부내용은 실제와 다를 수 있음

※ AI안부확인서비스는 서비스운영업체에서 직접 관제함

AI안부확인서비스 탭 내용 시작

AI가 주1회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 대상자의 안부(건강, 식사, 운동, 약복용, 불편사항 등)를 확인하고, 통화 내용을 자동 기록하여 동주민센터 및 관제센터 담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이용자의 안부 확인을 위한 시나리오를 자치구에서 필요한 내용으로 직접 작성할 수 있으며, 이용자 특성에 맞게 발화속도를 조절하거나 남녀 보이스를 변경할 수 있음.
AI안부전화 기반의 사회적 고립가구 발굴 및 후속조치 흐름도. 사회적고립가구가 서비스 이용에 동의하면, 지자체가 발신 대상자를 등록하고 통합관리시스템에 전달함. 이 정보는 대화형 서버를 거쳐 AI안부전화를 통해 대상자에게 발신되고, 건강상태 응답이 수집됨. 통화 결과는 서버를 통해 다시 통합관리시스템에 전달되며, 지자체는 이를 기반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후속조치를 시행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