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 스마트복지
  • 스마트안부확인서비스
스마트복지

스마트안부확인서비스

서울시 스마트돌봄 모델 구축 개요도. 스마트돌봄 운영의 효율성과 품질을 제고하기 위한 두 가지 주요 전략으로 ① 24시간 관계출동 운영(야간·휴일 대응, 사전관리 및 후속 모니터링, 관계센터 역량강화)과 ② 스마트복지 품질개선(적합성 조사, 운영 고도화, 교육·컨설팅, 사례 세미나 및 제작, 협력체계 구축)을 시각적으로 설명함.
스마트안부확인서비스 소개
스마트돌봄 관련 5개 서비스 비교 표. ① 스마트플러그: 전력(플러그)·조도 미사용 시 대응. 21개 자치구 대상, 마포·서대문·광진·동대문 제외. 약 4천 가구 용, 야간·휴일 대응은 약 3.5천 가구. ② AI안부확인: 주 1회 AI 전화로 위험발화 시 대응. 19개 자치구 대상, 관악·마포·서대문·성동·성북·은평 제외. 약 1.2만 가구 이용. ③ 똑똑안부확인: 통신·IoT센서·앱 미감지 시 대응. 8개 자치구 대상, 마포·성동·광진·성북·은평·서대문·강서·관악. 약 2만 가구 이용, 야간·휴일 대응 약 2.2천 가구. ④ AI안부든든: 전력(AMI)·통신·앱 미감지 시 대응. 4개 자치구, 강서·동대문·구로·중구. 약 600가구 이용. ⑤ 1인가구 안부살핌: 전력(AMI)·통신 미감지 시 대응. 8개 자치구, 중랑·성북·노원·은평·양천·영등포·서초·서대문. 약 1.5천 가구 이용.

※ '25년 5월 기준이므로 세부내용은 실제와 다를 수 있음

※ AI안부확인서비스는 서비스운영업체에서 직접 관제함

똑똑안부확인서비스 탭 내용 시작

휴대전화 통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발신 이력, 모바일 앱(걸음 수), IoT 디바이스(문열림 센서, 스마트플러그)를 종합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이용자의 안부를 확인하는 서비스. 일정기간 통신이 발생하지 않거나 모바일 앱 사용이 없는 등 이상 상황이 예측되는 경우, 자동 안부전화로 이용자의 안부를 1차로 확인함. 모바일 앱은 이용자가 접속하여 걸음 수, 최근 외출활동이력을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이용자가 위급 상황에 처했을 경우 응급 호출 버튼(SOS 기능)을 3초간 누르면 등록된 보호자, 관제센터, 112/119에 연결할 수 있는 기능 제공.
똑똑안부확인서비스 흐름도. 통신사, IoT 디바이스, 모바일앱(걸음수), 타 IoT 장치 등에서 수집된 대상자 데이터를 루키스 중계서버를 통해 똑똑메인서비스에 전달함. 서비스는 수발신, 걸음수, IoT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고위험군을 관리함. 확인 대상자 리스트가 생성되면 담당자에게 알림이 전달되고, 이후 대상자 안부확인이 이루어짐. 미활동 대상자에 대해선 자동 안부콜이 발신되며, 안부콜 리스트 및 미수신자 리스트를 통해 후속 확인이 진행됨. 표준 API로 외부 IoT 장치 연동도 가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