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 스마트복지
  • 스마트안부확인서비스
스마트복지

스마트안부확인서비스

서울시 스마트돌봄 모델 구축 개요도. 스마트돌봄 운영의 효율성과 품질을 제고하기 위한 두 가지 주요 전략으로 ① 24시간 관계출동 운영(야간·휴일 대응, 사전관리 및 후속 모니터링, 관계센터 역량강화)과 ② 스마트복지 품질개선(적합성 조사, 운영 고도화, 교육·컨설팅, 사례 세미나 및 제작, 협력체계 구축)을 시각적으로 설명함.
스마트안부확인서비스 소개
스마트돌봄 관련 5개 서비스 비교 표. ① 스마트플러그: 전력(플러그)·조도 미사용 시 대응. 21개 자치구 대상, 마포·서대문·광진·동대문 제외. 약 4천 가구 용, 야간·휴일 대응은 약 3.5천 가구. ② AI안부확인: 주 1회 AI 전화로 위험발화 시 대응. 19개 자치구 대상, 관악·마포·서대문·성동·성북·은평 제외. 약 1.2만 가구 이용. ③ 똑똑안부확인: 통신·IoT센서·앱 미감지 시 대응. 8개 자치구 대상, 마포·성동·광진·성북·은평·서대문·강서·관악. 약 2만 가구 이용, 야간·휴일 대응 약 2.2천 가구. ④ AI안부든든: 전력(AMI)·통신·앱 미감지 시 대응. 4개 자치구, 강서·동대문·구로·중구. 약 600가구 이용. ⑤ 1인가구 안부살핌: 전력(AMI)·통신 미감지 시 대응. 8개 자치구, 중랑·성북·노원·은평·양천·영등포·서초·서대문. 약 1.5천 가구 이용.

※ '25년 5월 기준이므로 세부내용은 실제와 다를 수 있음

※ AI안부확인서비스는 서비스운영업체에서 직접 관제함

1인가구 안부살핌서비스 탭 내용 시작

대상자 가정에 별도의 기기 설치 없이 통신 빅데이터(휴대폰 통신데이터인 통화 수·발신, 문자발신, 모바일 데이터 사용여부 확인), 전력 사용량(전기 사용량, 전기 사용시점, 전기 사용패턴 정보)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하여 이용자의 안부를 확인하는 서비스. 일정 기간 통신이 발생하지 않거나 전기사용이 없는 등 이상 상황이 예측되는 경우, AI전화로 이용자의 안부를 1차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1인가구 고독사 예방을 위한 전력 및 통신 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흐름도. KEPCO와 SKT·KT 데이터센터에서 수집한 전력사용량, 통신이력 등의 데이터를 클라우드 홈페이지에서 분석해 일정기간 미사용 상태를 확인함. 이 결과는 매일 오전 9시에 카카오 알림톡으로 지자체 복지담당자에게 전달되며, AI전화 및 스마트폰·PC 접속 등을 통해 대상자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 시 전화·방문 등으로 안부 확인 및 조치를 시행함. 요금 납부도 이 시스템과 연동되어 확인됨.